최대 수십% 수준 전망[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조회8회 작성일 25-08-02 08:42본문
웹사이트상위노출
최대 수십% 수준 전망[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미디어 시장의 성장이 정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유료방송도 비용효율화 작업에 들어간 분위기다. 케이블TV(SO)에 이어 인터넷TV(IPTV)도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게 지급되는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수순에 들어간 것이다.특히 최근 LG유플러스가 일부 중소PP 대상 대규모 사용료 삭감을 단행한 가운데 PP업계는 불합리한 삭감이라고 반발한 반면, LG유플러스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의거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어 첨예한 갈등이 예상된다.방송시장 전반의 침체 속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업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LGU+ “채널 평가서 평균 이하점 받은 사업자가 삭감 대상”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일부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를 대상으로 최대 수십퍼센트(%) 수준의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의사를 통보했다.방송 프로그램 사용료는 콘텐츠 사용에 따른 대가를 말한다. IPTV·케이블TV 등 유료방송사는 시청자로부터 받은 수신료 매출의 일부를 콘텐츠 사용료 명목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한 PP에 배분해 왔다.이 가운데 LG유플러스는 정부의 ‘PP평가 기준 및 절차 표준안’(이하 표준안)을 토대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입장이다. 2024년 기준 장르별 평가 점수가 평균 이하인 중소PP 중 일부 사업자를 대상으로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액을 삭감했다는 것이다.LG유플러스 관계자는 “장르별 자체 시청점유율에 기반해 평가한 결과 평균 점수 이하인 PP가 대상이 됐다”라며 “콘텐츠 대가산정 방안에 따라 진행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PP업계 “대가산정안과 무관, 채널 평가는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위한 명분”다만 중소PP의 입장은 다르다. 정부 표준안은 채널 계약의 연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의 근거가 될 순 없다는 지적이다. 즉, 평가 결과에 따라 채널 계약을 연장할지 해지할지를 정하는 정도의 의사결정만 가능하다는 것이다.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재허가를 조건으로 IPTV3사(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에 채널 계약을 위한 PP평가와 별도로 방송재원의 공정한 배분을 위한 ‘콘텐츠 대가 산정 방안’ 및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상생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이번 지급액은 이 최대 수십% 수준 전망[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미디어 시장의 성장이 정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유료방송도 비용효율화 작업에 들어간 분위기다. 케이블TV(SO)에 이어 인터넷TV(IPTV)도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게 지급되는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수순에 들어간 것이다.특히 최근 LG유플러스가 일부 중소PP 대상 대규모 사용료 삭감을 단행한 가운데 PP업계는 불합리한 삭감이라고 반발한 반면, LG유플러스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의거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어 첨예한 갈등이 예상된다.방송시장 전반의 침체 속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업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LGU+ “채널 평가서 평균 이하점 받은 사업자가 삭감 대상”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일부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를 대상으로 최대 수십퍼센트(%) 수준의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의사를 통보했다.방송 프로그램 사용료는 콘텐츠 사용에 따른 대가를 말한다. IPTV·케이블TV 등 유료방송사는 시청자로부터 받은 수신료 매출의 일부를 콘텐츠 사용료 명목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한 PP에 배분해 왔다.이 가운데 LG유플러스는 정부의 ‘PP평가 기준 및 절차 표준안’(이하 표준안)을 토대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입장이다. 2024년 기준 장르별 평가 점수가 평균 이하인 중소PP 중 일부 사업자를 대상으로 방송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액을 삭감했다는 것이다.LG유플러스 관계자는 “장르별 자체 시청점유율에 기반해 평가한 결과 평균 점수 이하인 PP가 대상이 됐다”라며 “콘텐츠 대가산정 방안에 따라 진행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PP업계 “대가산정안과 무관, 채널 평가는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 위한 명분”다만 중소PP의 입장은 다르다. 정부 표준안은 채널 계약의 연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사용료 삭감의 근거가 될 순 없다는 지적이다. 즉, 평가 결과에 따라 채널 계약을 연장할지 해지할지를 정하는 정도의 의사결정만 가능하다는 것이다.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재허가를 조건으로 IPTV3사(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에 채널 계약을 위한 PP평가와 별도로 방송재원의 공정한 배분을 위한 ‘콘텐츠 대가 산정 방안’ 및 ‘중소
웹사이트상위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