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HUMAN & ENVIRONMENT 고객센터

온라인문의

HOME > 고객센터 > 온라인문의

호주 브리즈번의 수상교통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조회9회 작성일 25-08-07 14:07

본문

동두천치과 호주 브리즈번의 수상교통수단 '시티캣' (브리즈번=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지난 4일(현지시간) 호주 브리즈번 도심 리버사이드 선착장 인근으로 접근 중인 수상 교통수단 시티캣(City Cat)의 모습. 브리즈번강 약 20㎞ 구간 22개 선착장을 오가는 시티캣은 버스·철도와 함께 브리즈번 시민의 출퇴근을 책임지는 핵심 교통수단이다. 2025.8.7 kihun@yna.co.kr (브리즈번=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지난 4일(현지시간) 호주 퀸즐랜드의 주도 브리즈번의 리버사이드(Riverside) 선착장.출근 피크 타임인 오전 8시께 브리즈번강을 따라 수상 교통수단인 시티캣(City Cat) 한 척이 미끄러지듯 매끄럽게 선착장에 들어왔다.배가 멈추자 갑판수가 능숙하게 배의 측면 안전문을 열고 선착장에 밧줄을 걸었다.이어 배와 선착장 사이 승선대가 놓이자 출근 복장 차림의 승객 70∼80명이 차례차례 배에서 내렸다.이들은 대개 브리즈번 중심 비즈니스 지구(Central Business District·CBD)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라고 시티캣 관계자는 설명했다.선착장에서 CBD까지가 그야말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인 데다 정시성도 훌륭해 시티캣은 대중교통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시티캣의 대중교통으로서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출근길 아침 풍경이었다. 정시성·접근성 탁월…한강버스보다 빠르고 날렵브리즈번강 약 20㎞ 구간 22개 선착장을 오가는 시티캣은 버스·철도와 함께 브리즈번 시민의 출퇴근을 책임지는 핵심 교통수단이다.1996년 첫 운항을 시작해 약 30년의 운영 경험을 갖췄으며, 9월 서울 한강에서 선보일 한강버스의 선도 모델로 평가된다.한강버스의 운영을 맡은 ㈜한강버스와 대주주인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는 시티캣의 운영 노하우와 선진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지난 3∼7일 브리즈번을 방문했다.동행 취재에 나선 기자가 탑승한 시티캣은 135인승(입석 포함) 모델로, 시범운항 중인 한강버스(199인승)보다는 규모가 작았다.시티켓은 쌍동선 구조로 안정성은 높이되 물에 잠기는 부분을 최소화해 저항을 줄이고 연비 효율은 높인 것이 특징이다.이에 선착장에 배를 대거나 빠져나가는 움직임이 한결 빠르고 날렵한 인상을 준다.승객들이 타고 내리는 구조를 최대한 효율적이고 간결하게 설계함으로써 승선·하선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은 <앵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 원유를 수입한다는 이유로 인도에 50% 관세를 부과했습니다.39%의 관세를 맞은 스위스 대통령은 미국까지 날아갔지만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 못했고, 50% 관세를 부과받은 브라질도 계속 반발하고 있습니다. 뉴욕 김범주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부과된 25%에 더해서, 세계 최고인 총 50% 관세를 매긴 겁니다. 인도가 러시아에서 여전히 석유를 수입하고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25% 관세는 우리 시간 오늘(7일) 오후부터 적용되고, 추가 25%는 21일 안에 발효될 예정입니다. 인도는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러시아 원유를 수입한다면서, 미국의 조치가 불공정하고 이성적이지 않다고 반발했습니다. 39% 관세를 부과 받은 스위스 대통령은 미국까지 날아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 못했고 관세도 낮추지 못했습니다.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45분간 만나서 새로운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귀국 때까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세계 최고인 50% 관세를 부과받은 브라질도 계속 강하게 반발중입니다. 굴욕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먼저 전화하지 않겠다면서, 브라질도 중국처럼 희토류 수출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브라질 대통령 :이렇게 말하겠습니다. 저도 대통령인데, 다른 대통령 때문에 굴욕을 당할 수 없습니다. 저를 존중하기를 바랍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에 관세 유예도 다음 주 11일에 끝날 예정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연장을 결정하지 않아서 관세를 둘러싼 외교전은 다방면에서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욱) 김범주 기자 news4u@sbs.co.kr 동두천치과